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인재
    고전의 숲

    인재를 천거할 때는

    진나라의 임금 평공이 기황양에게 물었습니다. "남양현에 현령 자리가 비었소. 그대가 보기에 누가 이 자리를 맡을 만하오?"

    기황양이 조금도 주저하지 않고 대답했습니다. "해호라면 잘 해낼 수 있을 것입니다.”

    왕이 놀라서 물었습니다. "그는 그대의 원수가 아니오?"

    기황양이 대답했습니다. "임금님께서는 누가 적임자인가를 물으셨지, 제 원수가 누구인가를 물으신 것은 아니잖습니까?"

    그래서 진평공은 해호를 남양 현령으로 삼았습니다. 과연 해호는 백성을 열심히 가르치고 격려하여서 폐정 (바르지 못한 해로운 정치)을 단번에 없앴으므로 남양 땅이 평화로워졌으며 칭송이 자자했습니다.

    그 후, 오래지 않아 진평공이 또 기황양에게 물었습니다. "조정에 법관 자리가 비었소. 누가 적당하다고 생각하시오?"

    기황양이 대답했습니다. "기오라면 잘 해낼 것입니다."

    평공은 이상한 생각이 들어서 말했습니다. “기오는 그대의 아들이 아니오? 그대가 아들을 추천하다니 두고두고 남의 입에 오르내리게 될까 걱정이오."

    기황양이 대답했습니다. "임금님께서는 누가 법관을 맡을 만한가를 물으셨지, 기오가 제 아들인가 아닌가 하는 사실을 물으신 것은 아니잖습니까?"

    과연 법관이 된 기오는 신중하게 법을 집행하여서 나라에 해로움을 제거하고 이익을 끼쳐서 백성의 칭송을 받았습니다.

    공자가 이 말을 듣고서 다음과 같이 칭찬했습니다. "그렇다. 기황양은 인재를 천거할 때 밖으로는 자기 원수도 피하지 않았고 안으로는 자기 자식도 꺼리지 않았으니 정말로 공평무사하구나."

    공정한 인사의 중요성

    훌륭한 인재를 뽑아 적재적소에 배치하면 모든 일이 잘 풀린다는 뜻의 '인사가 만사'라는 말은 조직을 관리하거나 나라를 다스릴 때, 언제 어느 때나 통하는 말입니다.

    기황양은 공정한 대의를 기준으로 삼았기 때문에 인재를 천거할 것을 요청받고서 유능한 사람이라면 원수도 가리지 않았고 심지어 자기 아들도 개의치 않았습니다. 원수를 갚는 일은 사사로운 문제에 속하고 유능한 사람을 선발하는 일은 공적인 영역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기황양이 살았던 춘추전국시대에는 워낙 능력을 갖춘 사람이 많지 않아 이런 경우도 있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오늘날 인사를 담당한 사람이 실제로 자기 아들을 추천하면 누구나 의심을 하고 부당하다고 생각할 겁니다.

    전근대 사회에서는 혈연·지연·학연 같은 사사로운 인간관계에 얽매어 앞에서 끌어주고 뒤에서 밀며 자기가 속한 무리의 기득권을 유지하고 확대하려고 했습니다. 본인이 알고 있는 사람, 조금이라도 관련이 있는 사람을 믿고 의지하려는 마음은 인간의 타고난 본능일 수도 있습니다.

    다만 사사로운 인간관계가 공적인 영역에 끼어들면 반드시 부정부패가 그 사이에서 만연하게 됩니다.

    조선 시대에는 상피라는 제도가 있었습니다. 가까운 친족 사이는 같은 관청이나 부서, 관직에 함께 임명하지 않는 제도입니다. 또 지방에 관리를 파견할 때에는 조금이라도 연고가 있는 곳에는 보내지 않았습니다.

    이 제도는 인정에 의해 권력이 집중되거나 공권력의 기능이 문란해지는 것을 막아서 관료체계의 객관성.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한 장치였습니다.

    이런 제도적 장치가 있었기 때문에 전제 왕조의 사회에서도 그런대로 권력의 독점과 전횡 (권세를 혼자 쥐고 마음대로 함)을 막고 견제를 하여서 정치의 객관성을 추구할 수 있었던 것입니다.

    기황양이 대답한 방식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진나라 평공은 남양의 현령으로 적임자가 누구인가, 후임 법관의 적임자가 누구인가를 물었습니다. 거기에 기황양은 꼭 맞는 사람을 바로 지적하여 대답하였습니다.

    이처럼 문답이나 토론을 할 때는 상대방의 말을 정확하게 알아듣고 거기에 꼭 맞는 답을 해야 합니다. 전제로 삼은 말이나 비유 또는 은유를 맥락에 따라 파악하지 못한 채 실제 사실을 진술한 말로 여기고서 인신공격으로 받아들여서 물고 늘어지거나, 말꼬리를 잡거나, 상대방이하지도 않은 말을 추측하고 그 의도를 넘겨짚기까지 해서 논박해서는 안 됩니다.

    혹은 앞뒤 말을 자르고 이어 붙여서 자기가 원하는 논리로 만들어서 이를 비판하거나, 자기감정을 집어넣어서 성급하고 주관적인 판단으로 상대방을 밀어붙여서도 안되지요.

    그리고 말싸움에서 이겼다고 해서 상대방을 설복시킨 것은 아닙니다. 상대방의 말문을 막았다고 해서 진실을 차지하는 것도 아님을 명심해야 합니다.

    인재
    고전의 숲

     

     

    반응형